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정부가 ‘경제 소통’ 행보를 부쩍 늘리고 있다. 정책당국자들의 현장 방문은 반길 일이다. 하지만 소통이 잦아질수록 되레 기업인들의 실망감은 커지고 있다. 겉으로만 소통에 나설 뿐
정부가 ‘경제 소통’ 행보를 부쩍 늘리고 있다. 정책당국자들의 현장 방문은 반길 일이다. 하지만 소통이 잦아질수록 되레 기업인들의 실망감은 커지고 있다. 겉으로만 소통에 나설 뿐 정책 변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소통 강화가 기업인들에겐 ‘희망고문’이 되고 있다는 지적까지 제기된다.
17일 정부 각 부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1일 2기 경제팀 출범 이후 현재까지 이뤄진 경제장관들의 기업 현장 방문과 간담회는 25건에 이른다. 김수현 정책실장 등 청와대 정책참모들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홍영표 원내대표 등 여당 지도부의 현장 방문까지 합치면 30건이 넘는다.
그러나 경제 소통이 대부분 정부 입장을 재확인하거나 오히려 기업을 압박하는 식으로 진행되면서 경제계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5일 공유경제와 관련해 “사회적 대타협이 우선돼야 한다”는 원론적 기조를 되풀이하자, 이재웅 쏘카 대표는 페이스북에 “어느 시대 부총리인지 잘 모르겠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