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문재인 대통령은 21일 “담보가 충분한 대기업에 비해 혁신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금융의 문이 매우 좁다”며 “‘금융의 양극화’를 해소해야 혁신도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담보가 충분한 대기업에 비해 혁신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금융의 문이 매우 좁다”며 “‘금융의 양극화’를 해소해야 혁신도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금융 관행을 전면 혁신해 혁신·중소기업에 3년간 100조원의 자금이 공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서 ‘혁신금융 비전 선포식’을 열어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최종구 금융위원장 등 정부 관계자,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및 금융업계 최고경영자(CEO) 등 11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금융회사를 방문해 금융간담회를 연 것은 2017년 5월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은행 여신 시스템의 전면적 혁신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기계와 같은 동산, 채권, 지식재산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을 포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괄담보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할 것”이라며 “기술평가와 신용평가를 통합하는 여신심사 모형을 구축해 기술력 있는 창업기업의 자금 조달에 물꼬를 터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혁신기업에 충분한 모험자본이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기재부와 금융위는 현재 0.3%인 증권거래세를 연내 0.05%포인트 인하하겠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금융은 비 올 때 우산이 돼주는 역할에 그쳐서는 안 되고 비구름 너머에 있는 미래 햇살까지도 볼 수 있는 혁신금융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성태/강경민 기자 mrhand@hankyung.com
홍남기 “증권거래세-양도세 확대 연계방안, 내년 상반기 발표”
김도진 행장과 기업은행 칭찬한 문재인 대통령
靑, 인사말 외교결례 논란에 “말레이서도, 인니서도 쓰는 표현”
담보 없어도…中企 기술력만으로 대출 받기 쉬워진다
제조업·서비스업에 70조 정책자금 공급
혁신 기업 금융지원, 정부 아닌 시장에 맡겨야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