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서울=뉴스핌] 박준호 기자 =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위해정보가 총 7만2013건으로 전년대비 1.4%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가구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
[서울=뉴스핌] 박준호 기자 =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위해정보가 총 7만2013건으로 전년대비 1.4%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가구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일 한국소비자원은 2018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가 전년대비 1.4%(1013건) 늘어났다고 밝혔다. 2016년 6만9081건에서 2017년 7만1000건으로 2.9% 늘어난 데 이어 꾸준히 증가세다.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전체의 17.3%(12,438건)를 차지했다. 충돌·추락 등 가구로 인한 상해가 지속 발생하고 라돈 검출 매트리스와 유해물질 검출 놀이매트 관련 언론보도 등으로 위해정보 접수가 급증했다.
매트리스의 경우 2187건으로 전년대비 무려 2840.3% 증가했다. 놀이매트도 866건으로 전년대비 921.3% 증가했다.
위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53.0%(3만8141건), 위험‧위해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등 ‘물리적 충격’이 42.5%(3만561건)로 가장 많았다.
연령 확인이 가능한 위해정보 6만3834건 중에는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가 2만4097건으로 37.7%를 차지했다. 이 중 6세 미만 영유아의 안전사고 건수가 1만9250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뇌진탕(774건)’과 ‘골절(749건)’ 사고의 경우 각각 86.3%와 65.1%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속‧다발하는 계층별‧장소별‧산업별 위해품목 및 위해원인에 맞는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콘텐츠 제작·보급, 안전 캠페인 시행 등의 위해저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